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op Bottom

고인돌 소개

고인돌이란

고인돌의 분포, 종류, 형태등 다양한 정보를 안내합니다.

고인돌 형태

탁자식 고인돌 (卓子式 支石墓)

탁자식고인돌은 넓은 판석으로 축조한 무덤방이 지상에 노출되어 있는 형식으로, 판석 4매 혹은 6매 이내로 짜 맞춘 석실 위에 납작한 덮개돌이 올려진 것이다.

주로 한강 이북에서 중국 요령지방에 집중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북방식(北方式)으로 불리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오덕형(五德形)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집모양인 것에서 석붕(石棚)이라고 한다. 탁자식 중 대형은 주로 제단이나 기념물로 축조된 것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탁자식 고인돌의 남방 한계선은 경남 거창과 전남 영암, 강진까지 나타나고 있다.

기반식 고인돌 (碁盤式 支石墓)

기반식 고인돌은 판돌을 세우거나 깬돌, 자연석으로 쌓은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그 주위에 받침돌을 4개에서 8개 정도 놓고 그 위에 커다란 덮개돌로 덮어 마치 바둑판모양의 형태이다. 외형상 지표면에서 들려져 있어 웅장하게 보인다.

이 기반식고인돌은 덮개돌이 거대하고 괴석상을 한 대형들은 호남과 영남지방에서만 보이고 뚜렷한 무덤방이 없는 것이 많다. 북한에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는 형식으로 남방식(南方式) 고인돌이라고 한다.

개석식 고인돌 (蓋石式 支石墓)

개석식 고인돌은 지하에 만든 무덤방 위에 바로 뚜껑으로 덮은 형식을 말한다. 받침돌이 없이 바로 무덤방을 덮은 것에서 개석식을 무지석식(無支石式), 뚜껑식, 대석개묘 등으로도 부르고 있다. 이 형식에서는 거의 돌로 만든 무덤방이 확인되고 있어 원래 무덤의 기능으로 축조된 것이다.

요동반도, 한반도, 일본 구주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고인돌 형태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무덤으로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고인돌에서 출토되는 유물도 대부분 이 형태에서 출토된 것들이다.

위석식 고인돌 (濟州式 支石墓)

제주식이라고 부르는 위석식 고인돌은 무덤방이 지상에 노출되어 있는데, 수매의 판석이 덮개돌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려 세워진 형태이다. 지상에 드러난 판석들의 수가 6매 이상으로 대개 타원형이나 방형에 가까운 무덤방형태가 특징적이다.

대표적으로 제주 용담동 4호 고인돌을 들 수 있고 유사한 형태는 중국 절강성지역에서도 보이고 있다.